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89

제3강 自然=퓌지스를 탐구하다 I 제3강 自然=퓌지스를 탐구하다 I 퓌지스(스스로 그렇다)에 대한 사색들(자연철학자들에 대한 탐구) 최초의 철학자들은 허무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또 정치적 부정의를 극복하기 위해 우주의 질서, 영원한 자연을 찾았고, 그것이 자연/본성(physis)의 철학을 낳았다. 자연철학(natural philosophy). 이때의 자연은 대상으로서의 자연이 아니라 근원으로서의 자연이다. 밀레토스 학파는 훗날 ‘질료’(또는 물질)이라고 불리게 되었음. 그렇게 불리는 것, 우주의 ‘원질(原質)’을 찾았다. 그로부터 물(탈레스), 아페이론(아낙시만드로스), 공기(아낙시메네스)라는 결론들을 이끌어내었다. 이오니아 지방에서의 질료 탐구와는 대조적으로 이탈리아 지방에서 흥기(興起)한 퓌타고라스(Pythagoras) 학파는 훗날 .. 2013. 12. 3.
철학사입문코스 #1 철학의 탄생: 그리스, 중국, 인도 철학사입문코스#1 철학의 탄생 철학사고 하는 것을 이야기하기가 간단하지 않다. 왜냐하면 철학을 정의하는 바가 너무나 다양하기 때문이다. 무엇을 철학으로 볼 것인가? 철학은 외연이라는 것을 잡아야 한다. 외연은 어디까지가 철학이냐? 이라는 것인데, 그런 것들은 내포로 인해 정해진다. 즉 내포와 외연이 순환하는 것이다. 그러나 철학의 내포와 외연을 정의하기가 너무 어렵다. 외연을 좁게 하여 오늘날 학문의 세계에서 인정하는 철학은, 어떤 사고가 체계적이어야 하고 그것이 text언어로 명확히 표현이 되어야 한다. 외연을 넓게 할 경우, 아프리카 부족에도 철학이 있다. 좁은 의미에서의 외연으로 보았을때 철학의 모태는 그리스(헬라스)에서 왔다. 국민국가, 민족국가는 근대의 개념이다. 고전에는 어떤 지역 또는 문명권.. 2013. 12. 1.
#1 철학의 문을 여는 열가지 주제: 철학이란 양운덕#1 철학의 문을 여는 열가지 주제: 철학이란 철학 보는세계=표상듣는세계 듣도 보도 못하는 세계, 철학 어린왕자의 보아뱀=눈에 보이는 세계가 전부가 아니다 보이는 세계 너머를 보고 싶은 철학 철학이란 무엇인가?대부분의 지식은 알고 모르고에서 끝나지만, 철학의 세계에서는 질문이 반복되는 것이다. 생각- 사고과정-> 대상 철학이란 무엇인가? 라고 물어보았을 때 우리는 철학은 ""이다. 라고 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철학은 ~한 것이 아니다. 철학은 가르칠 수 있으나 철학함은 가르칠 수 없다. 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나는 어디까지 생각할 수 있는가. 무엇을 생각할 수 있는가? 무엇이 참인지 선인지 아름다움인지는 다른 문제이다. 인간을 알기 위해서는 인간이란 무엇인가가 아닌, 인간은 무엇을 알.. 2013. 12. 1.
고민 1. 오늘 졸리 푸린과 마웅저아저씨 집으로 가는 길을 마치고 그들의 근래 활동을 듣게 되었다. 자신이 50살이 되었을때 어떤 NGO를 만들 것이라는 것까지 생각하고 있던 졸리. 그리고 흥미로운 논문 주제. 다음 상반기의 계획 들 그리고 그녀가 상상하는 새로운 꿈들이 가슴을 두근 거리게 했다. 나도 같이 하고 싶다! 와, 나도 그렇게 하고 싶었는데. 아. 정말 그렇게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라는 생각에 웃음이 절로 나온다. 그래서 나를 돌아본다. 나의 무기는 무엇인가? 당장 그들이 어떤 프로젝트를 함에 있어, 내가 기여할 수 있는 날카로운 도구는 무엇인가? 부재 했다. 2. 그래서 나는 어떤 도구를 만들 것인가? 에 대한 생각에 머리가 복잡해지기 시작했다.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것이다. 그리고 정말 내가 .. 2013. 11. 29.
고민 1. 오늘 졸리 푸린과 마웅저아저씨 집으로 가는 길을 마치고 그들의 근래 활동을 듣게 되었다. 자신이 50살이 되었을때 어떤 NGO를 만들 것이라는 것까지 생각하고 있던 졸리. 그리고 흥미로운 논문 주제. 다음 상반기의 계획 들 그리고 그녀가 상상하는 새로운 꿈들이 가슴을 두근 거리게 했다. 나도 같이 하고 싶다! 와, 나도 그렇게 하고 싶었는데. 아. 정말 그렇게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라는 생각에 웃음이 절로 나온다. 그래서 나를 돌아본다. 나의 무기는 무엇인가? 당장 그들이 어떤 프로젝트를 함에 있어, 내가 기여할 수 있는 날카로운 도구는 무엇인가? 부재 했다. 2. 그래서 나는 어떤 도구를 만들 것인가? 에 대한 생각에 머리가 복잡해지기 시작했다.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것이다. 그리고 정말 내가 .. 2013. 11. 29.
[경전과 고전]1. 축의 시대 [경전과 고전]1. 축의 시대 기원전 8세기 등장한 축의 시대의 개념과 축의 시대가 등장하게 된 배경. 인간의 종교행위를 넘어 우주의 원칙을 알려는 인간의 의지와 그것을 삶에 적용하려는 오래된 전통인 의례에 대한 기원과 개념 학습. 이스라엘,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인도에서의 다양한 의례의 형태 및 의미 - 현재의 경전은, 숫타라는 인도에서 옴. 경전이라는 개념 자체가 인도에서 첨 생김 - 그리스에서 삶의 일련의 기준이 되는 예술이나 책을 'canon'이라 함(어원: 히브리어;qaneh-갈대자) - 의례; 칼야스퍼스가 이 용어를 만듬.(실존주의 철학자.) - 실존주의: 인간의 삶은 도덕, 과학 뿐만 아니라 삶의 의미의 진정성이 필요함을 주장. 진정성이란, 삶 그 자체가 의미가 있어야 하며, 삶의 의미한 .. 2013. 1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