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89

“Lives” Project 사업의 철학적 기반 피해자 인권이라는 것은 무엇이고 피해자의 증언을 어떻게 연구해야 하는가?심층면담의 방법에 대해 집중 됨. 증언을 할 때 어떤 방식으로 insight를 해야하고? 상대방의 면접에 있어서 주도권을 넘긴다는 것을 처음으로 배움. 주도권을 상대방에게 넘기고 면담을 하면 면담이 더 풍요로워짐. 전체적인 것. 민족지연구방법론: 참여, 관찰, 심층면담이라고 하는 것은 공식면담. 비공식 면담이라고 하는 것은 채팅하는 것과 같은것. 그것 또한 그들의 풍분한 삶. 그것을 어떻게 기록할 것인가? 이러한 것들이 어떠한 자료가 될 수 있는가에 대한 기본적 방법론. 이러한 방법론을 통해 연구를 하자는 것이 아니라, 활동에 접목을 시키면 활동에 있어서 '나의 면담을 어떻게 더 잘 증진 시킬 수 있을지' '이사람들의 경험을 어떠한 .. 2014. 7. 14.
쭈쭈바를 사는 데 실패하고 돌아온 일기 We are all strangers somewhere. 우리는 어디서인가 이방인이다. 어필의 콘서트를 혼자 보고 이정도 즈음이다고 생각되어 끊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내일 오전 일찍 출근해야하니 피곤하다. 라는 생각을 미룰 수 밖에 없었던지난 문제들의 향연이 이어졌다. 나는 왜 이토록 무거운 짐을 지고걸어가고 있는걸까내게 왜 이 짐은 무겁게 느껴지는 것일까 감정조절을 하고 말하기 연습을 했고그런 결과에 잘 했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나는 아직까지 동등한 활동가가 아니라칭찬을 받고 키움당하는 후배? 와 같은 느낌이 드는 것은 아마도 내가 난센의 5년 10년을 그릴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지지 않았을 뿐더러5년 10년을 공유받지 못했기 때문이기도 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난센의 사업이 생겨나고 사라지고또 생겨나고 .. 2014. 7. 11.
또 오랫만에.. 난쎈일기 난쏀에 지금까지 남아.. 인코딩을 기다리며 오랫만에 난쎈일기.. 오늘은 세계 난민의 날. 난센에 들어온 이후로 3번째 맞는 난민의 날 일년 중 가장 바쁜 시즌 중 하나 이고, 또 중요한 날이다 보니 자연스럽게 그 과정에서 난센의 문제나 내 활동에 대해 깊이 돌아 볼 수 있게 되는 시간들이 되는 것 같다. 그래서 이번 난민의 날에도, 여전히 존재하는 난센의 여러가지 한계와 문제들이 드러난다. 물론 올해는 조금 달라진 것이 있다면 무조건 그것에 대해 비난하고 좌절하는 것이 아니라 조금 더 감정적으로 극복되고, 빨리 일상으로 전환 될 수 있는 힘이 있다는 것이다. 그 과정이 '망각'의 과정이냐 진실로 '극복'의 과정이냐는 조금 더 돌아볼 필요가 있겠지만. ㅋ 여튼 내가 왜 이렇게까지 남아서 하는가 활동을 하는.. 2014. 6. 20.
일기쓰귀 2014. 4. 9.
오랫만에... 이제는 초록색이 아니게 되었지만, 아무도 모르는 은밀한 일기가 되기 위해서 그 동안 이 곳을 잊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단 한 개의 생각도 잊고 싶지 않을 만큼 쓸 이야기들이 많은 날이면 다시금 이 바다를 찾아 오곤 하는 것이다. 1. 오늘 은애씨의 이야기를 들으며 너무 벅차 올라 펑펑 울었다. 나와 너무나 비슷한 아니 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사람. 나보다 더 많은 과정을 거쳐 온 사람. 이 사람의 이야기를 듣고 있으니 나도 모르게 벅차 올랐다. 그 어떤 말로 설명 할 수 없는. 지금 이 순간 우리가 이 공간에서 함께 있음을 자각하게 하고 그것의 소중함을 다시 또 다시 일깨우던 순간. 고등학교 때 까지 기독교의 정체성이 자신을 지배 했던 것. 그것에서 벗어나 선한 이가 되고자 다른 것들과 부딪혀.. 2014. 4. 5.
현대미술로서의 사진 : 사진으로 철학하기 제1강 현대성과 현대사진 ◆ 현대사진의 특징 ※학습목표현대사진의 언어는 전통사진의 언어와 어떤 차이를 갖는지 이해한다. ▲ 언어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이유 사진의 언어성은 어떤 방법으로 변해왔을까? 언어성의 한 부분인 Narrative(서사) 와 Storytelling(이야기)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한다. 언어성의 차이는 무엇인가? 현대 미술로써 사진이라고 말하는 것은 무슨 뜻인가? 현대적 언어라는 것은 무엇일까? 우리가 현대사진에서 지각할 것은 무엇일까? 현대사진이 난해함은 언어성을 알게 되면 쉽게 이해된다. 현대사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Narrative와 Storytelling을 알아야 한다. 현대성과 그 이전 것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야한다. public information= 현재사진의 네러티브.. 2014.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