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89

장애를 통해 번뜩이는 난민 운동 담론 관련 메모들_비마이너 기사를 보고 황지성 여성주의 장애학 연구자의 강연 메모를 보고 배우는 점들-현실정치가 아닌 인식론적 관점에서의 접근 1. 운동은 어떤 질문을 던질 것인가? 2. "남성의 관점으로부터 여성, ‘나’를 정의하지 말고, 서구(이성애자, 백인, 비장애인, 부자, 서울사람…)와의 관계로부터 ‘우리’를 정의하지 말자는 것이다 … ‘진정한 우리’, ‘진정한 여성’은 없다. 여성주의가 주장하는 것은 서구/남성의 대립항으로서 ‘우리’를 찾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회로 이행하는 것이다. 여성주의는 서구/‘우리’, 남성/여성이라는 이분법 자체가 서구/남성의 권력이라고 보는 대표적인 탈식민주의 사상이다." - 정희진, ‘페미니즘의 도전’ 중에서 황 연구자는 여성주의가 여성만을 위한다는 오해와 달리, 성별로 권력을 나누는 총체적인 체계를.. 2019. 4. 1.
서교연-사회운동의 쟁점들 -깨진 메모들 https://en-movement.net/222?category=720927 정정훈 담론 분석에 있어서 이론형성의 토대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규범기반-구조기반 착종되어 구축 (1) 규범기반접근의 전도된 우위 사회권 박탈의 원인을 신자유주의 경쟁체제 등에 둠 이를 위한 기반은 국제인권규범으로 추려짐 사회권에 대한 구조기반 접근에 입각 사회권에 대한 규범기반접근 - 발전권에 대한 문제제기는 구조적 접근이라는 것이 있음. 그러나 국제인권규범이 90년대 초반에는 권위가 있는 것으로 보여왔지만, 어짜피 안먹힌다. 이후에 사회권만을 국제인권규범을 제외하고 이야기하려고 했는데/ 국제인권규범의 언어를 이야기하지 않으니까 그 이전과 어떻게 다른것일까 인권운동의 독자적 사회권 이론을 만들어야한다는 요구 구조와 규범의 관.. 2019. 4. 1.
폭력을 알지도 못하면서 어떻게 폭력으로부터 자신을 지킬 것인가?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523006 성폭행 순간 그녀는 왜 주머니 속 칼을 쓰지 못했나 [운동하는 여자 20] 내가 싸움을 배운 이유 www.ohmynews.com 주먹을 휘두르는 것 2019. 4. 1.
Refugees in South Korea (3.23.2019) Refugees in South Korea 그룹 만든지 며칠 됐다고 외사계 경찰이 들어오는 건 뭐임...짜증난다. 이 인간들은 사찰이 일상화 되어서 너무 당연히 우리를 감시한다.... 친구인척 하면서 테러리스트인지 브로커인지를 살피고 이를 뒷받침해줄 근거를 하나라도 더 모아서 실적을 올리지..ㅋㅋㅋ 그룹 공개를 하고 싶어도, 공개를 하기가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역시나 익명선택이 자유로울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ㅜㅜ 2019. 4. 1.
그룹 만든지 4일째. 그룹 만든지 4일째. 벌ㅆㅓ 실ㅍH의 기운이 올라오고 있다. 메세지를 받았다. 내가 경char을 강퇴시키고, '누구도 우리를 감ㅅI할 권리가 없다'는 글을 올린 것에 대해, 이미 내부 스ㅍL이가 그 경찰에게 해당 내용을 전ㄷㅏㄹ했다는 소식이었다. ㅠ.ㅋㅋㅋㅋㅋㅋㅋㅋ나이브해도 너무 나이브했다는 생각이 든다. 마치 작년 예멘 이슈 이후의 상황같다. 트위터, 페북, 인스타그램 등의 친구 목록을 훑으며, 누가 안전하고 / 안전하지 않은지에 대해 한참을 가르다가 도저히 분간이 되지 않아 언제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느끼는 것 처럼, ㄱㅡ룹 내에서도 마찬가지다. 여성 커뮤니티에서 가입을 위해 신분증 확인을 하는 것 처럼, 난민 신청 여부를 여러가지 서류로 확인한다고 하더라도 여러가지 사정으로 ㅠ.ㅠ ㄴㅐ부 스ㅍㄴ.. 2019. 4. 1.
장애인- 난민 활동 요즘 일상은 도서관에서 딴짓거리. 그런데 최근 딴짓거리를 하며 다른나라의 장애인 난민 활동들을 발견하고는 부러움을 금치 못하고 있다. 이들은 기존의 비난민 중심으로 구성된 장애인 운동에 난민이슈를 연결하며 실질적인 행정접근권을 마련하고, 난민 심사 대기기간 동안 버려지기 쉬운 시간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이들의 권리를 실현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스웨덴의 Disabled refugees welcome의 경우 최근 3년간 장애인 난민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약 70여명의 당사자를 만나 여러가지 작업을 하고 있는데, 배울점이 많다. 홈페이지 상에 구체적으로 나와 있지 않은 활동 노하우?들이 궁금해서 질문을 모아 보내보려고 한다. 한국은 최근에야 난민인정자가 장애인 등록을 하게 되었으나, 관할부서는 행정접근권에.. 2019. 4. 1.